애니메이션이나 영화등에서 닌자는 높은 담장을 가볍게 뛰어넘거나 나뭇가지 위를 날아다니며 이동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숙련된 닌자라면 하루에 200km 정도는 쉽게 달렸다고 합니다.
이런 닌자에게는 조금이라도 짐을 줄여서 몸을 가볍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닌자는 최소한으로 휴대해야할 7가지 도구가 있다고 합니다. 일본의 에도시대에 쓰여진 닌자 관련 서적인 '쇼닌기(正忍記)'에도 소개되어 있는 '닌자의 7가지 도구'에 대해 소개합니다.
닌자필수 도구는?
닌자에게 주어진 임무가 실패하면 자군의 패배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닌자에게 주어진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에 주어진 임무를 성공시키기 위해서 닌자에게는 다양한 도구가 만들어 졌습니다.
마치 007영화에 등장하는 다양한 도구처럼 닌자에게도 다양한 도구가 제작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사다리 하나만 보더라도 현대의 사다리와 같은 2개의 기둥 사이에 발판을 끼운 '유이사다리(結梯)', 하나의 기둥에 직각으로 발판을 붙인 '비사다리(飛梯)', 대마줄로 만든 접을 수 있는 '마키사다리(巻梯)', 마키사다리에 스파이크처럼 생긴 갈고리를 달아 험준한 바위나 나무숲을 오르는 데 사용하는 '구사다리(鉤梯)' 등 용도와 휴대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 |
![]() |
![]() |
![]() |
유이사다리(結梯) | 비사다리(飛梯) | 마키사다리 | 구사다리(鉤梯) |
물론 이 모든 도구를 다 가지고 다니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활용도가 높고 없어서는 안 되는 닌자 도구를 가리켜 '닌자의 7가지 도구'라고 불립니다. 닌자는 이 7가지 도구와 임무의 특성을 고려해 엄선한 닌구를 가지고 각각의 임무를 수행했다고 합니다.
그럼 닌자의 7가지 필수 도구를 소개하겠습니다.
1. 카키나와
"카키나와(鉤縄)는 밧줄 끝에 철제 갈고리가 달린 닌구(忍具)입니다.
낚싯바늘처럼 잘 빠지지 않는 모양의 갈고리는 높고 오를 수 없는 담장이나 발판이 없는 벽, 절벽 등을 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철제 갈고리 부분이 추 역할을 하여 원심력을 이용해 멀리 던질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벽을 오르는 것뿐만 아니라 다리가 없는 해자나 강을 건널때, 갈고리를 건너편 나무 등에 걸고 진자처럼 움직여 건너가기도 했습니다.
또한, 밧줄 부분으로 '생포한 적을 묶어 올리기', '물건을 묶어 묶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고, 기세를 몰아 철제 갈고리를 적에게 부딪혀 공격하는 등 무게감 있는 무기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또한 갈고리는 쉽게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고도의 전문적 훈련을 받은 닌자뿐만 아니라 사무라이나 평상시에는 농사꾼으로 일하는 병사들도 전투 시 사용했다고 합니다.
2. 아미가사
"아미가사(編笠)는 다다미방의 재료로도 쓰이는 이구사(いぐさ)나 쌀을 수확하고 남은 볏짚, 물가에 자라는 벼과 식물인 마코모(真菰)를 원료로 한 풀로 엮은 갓을 말합니다. 과거에 일본 전국 각지에서 일반적으로 착용하던 복장이었기 때문에 어디에서 쓰고 있어도 의심받지 않았다고 합니다.
일본 전국에는 다양한 종류의 편모가 있었지만, 그중에서도 닌자들이 즐겨 사용했던 편모는 눈 깊숙이 눌러 얼굴을 완전히 가리는 모양입니다. 적지에 잠입한 닌자가 자기 얼굴을 주변에 들키지 않기 위해 사용했다고 합니다.
닌자의 얼굴이 적에게 알려지면 이후 스푸핑이 어려워지거나, 적에게 얼굴이 알려지면 적에게 발각되어 그 자리에서 잡히는 등 임무 수행에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얼굴을 보이지 않게 하려고 갓으로 얼굴을 가리고 다녔다고 합니다. 또한, 갓 안쪽에는 적지에서 얻은 정보를 적은 종이를 꿰매어 적에게 들키지 않게 휴대하거나, 반궁(半弓: 작은 활)을 준비해 유사시에 사용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3. 석필
"석필(石筆)은 막대 모양의 왁석(ろう石: 왁스처럼 반투명하고 부드러운 돌)이나 굳은 점토를 재료로 한 휴대용 필기구입니다. 왁석 필기구는 현대에도 건설 현장이나 공장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석필로 쓴 글씨는 쉽게 지울 수 있어서 보고 들은 정보를 임시로 적어두었다가 지우거나, 동료가 쓴 메시지를 본 닌자가 확인 후 바로 지워버리는 등 필요 이상의 흔적을 남기지 않는 데에도 능숙했습니다.
4. 약품
닌자는 직업상 위생적인 환경뿐만 아니라 산이나 강 등지에서 활동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건강 유지를 위한 예방약, 몸이 아플 때 사용하는 치료 약 등 많은 약품을 휴대하고 다녔다고 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산길을 걸을 때 유용한 벌레 퇴치제나 상처에 바르는 상처약과 같은 개인용 약품입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유용했던 것은 임무 수행에 큰 지장을 초래하는 식중독 등의 복통을 억제하는 약입니다.
또한, 에도시대에 쓰인 닌자 기술서(만센슈카이(万川集海))에는 닌자가 사용했던 휴대용 식량 제조법도 기재되어 있는데, 메밀가루나 참마 등을 주원료로 하여 영양가가 높고 간편하게 영양을 보충할 수 있는 '기카쓰간(飢渇丸)'이나 매실을 넣어 타액의 분비를 촉진하고 갈증을 억제하는 '수카쓰간(水渇丸)' 등도 휴대하고 다녔다고 합니다. 매실을 넣어 타액 분비를 촉진하고 갈증을 억제하는 '수이카츠간(水渇丸)'도 휴대하고 다녔다고 합니다. 또한, 암살 임무에 대비하여 독약인 비소, 비소 등의 독약도 빼놓지 않았다고 합니다.
5. 삼척 손수건
"삼척수건(三尺手拭い)은 이름 그대로 길이가 3척(약 90cm)인 면으로 만든 손수건입니다. 콩과 식물인 수오(蘇芳)로 염색한 수오색(검은색을 띤 붉은색)이 특징입니다.
닌자 기술서에서도 '항상 몸에 지니고 다려라'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중요한 닌자의 도구였습니다.
삼척수건이 '중요'한 이유는 손수건의 폭넓은 용도 때문입니다. 얼굴을 가리기 위한 뺨 가리개나 보자기, 띠로 착용하거나 상처를 덮는 붕대로 사용하였으며, 물을 여과하여 마시는 등 위생적인 환경을 확보하기 위한 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그 길이를 늘여 담이나 나무에 오르는 밧줄 대용, 돌을 감아 휘두르면 무기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우치타케
"우치타케(打竹)는 불씨를 휴대하기 위한 도구로, 성냥이나 라이터가 없었던 시절에 빠르게 불을 지피기 위한 도구입니다.
짧은 대나무를 사용하며, 대나무 통에 작은 통풍구를 뚫어 내부의 산소가 고갈되지 않도록 했습니다.
통 안쪽에는 철선이 세로로 여러 줄로 늘어져 있고, 안에 넣은 불씨 줄은 철제 철조망에 갇혀 있어 대나무 통과 불씨 줄이 직접 닿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었습니다.
촛불에 불을 붙이거나, 적진에 불을 지르거나, 화기를 사용하는 등 불을 사용하는 장면이 많은 닌자 활동에서 빼놓을 수 없는 닌자 도구였습니다.
링크의 유튜브 영상에서는 우치타케를 만들고 실제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7. 시코로
닌자가 담장이나 성벽, 해자 등을 뚫고 내로 침입에 성공해도 건물 내부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문을 열어야 했다. "시코로(錣)는 닌자가 적진에 잠입하고 문을 열 때 사용하는 개기(開器)라고 불리는 닌자 도구의 일종입니다. 끝이 뾰족한 양날의 '톱'과 같은 모양으로, 나무나 대나무도 가볍게 자를 수 있습니다.
현대식 톱으로는 문과 같은 평면적인 물체를 자르기가 어렵지만, 시코로는 끝이 가늘어서 먼저 원뿔 등으로 구멍을 뚫어두면 끝을 끼워 넣어 절단할 수 있습니다.
시코쿠의 크기와 모양도 다양한데, 큰 것은 울타리를 자르는 등 잠입 전 준비에 사용했고, 작은 것은 옷깃에 숨겨두었다가 잡혔을 때 감옥을 뚫고 탈출하는 데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이 시코쿠를 뺀 6개의 닌구(忍具)를 '시노비로쿠구(忍び六具:닌자의 6가지 도구)'라고도 합니다.
시코쿠를 포함한 대부분의 개기(開器)는 목공 도구에서 발전하여 탄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톱이나 '끌', '못 깎기' 등 성이나 요새를 짓는 데 필수적인 목공 도구는 동시에 잠입을 위해 나무 기둥이나 흙벽 등을 파괴하는 데 능숙한 도구이기도 했습니다.
시노비의 7가지 도구의 공통점은 모두 한 가지 용도로만 쓰이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시노비 도구와 결합하여 폭넓게 응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닌자에게는 닌구(忍具)의 특징을 제대로 이해하는 지식과 그 특징을 조합하여 다양한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발상의 전환이 요구되었습니다. 우리에게 닌자는 영화나 애니메이션처럼 높은 신체 능력과 무술 실력으로 주목받지만, 실제 닌자는 매우 높은 지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닌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존했던 진짜 닌자의 진정한 모습은? (2) | 2024.03.02 |
---|---|
"닌자" 와 "시노비"의 차이점 (2) | 2024.03.01 |